김규식 4

전 의친왕 이강이 김규식을 찾아간 이야기

의친왕을 숭모하는 이들은 광복 이후, 독립지사들이 의친왕에게 찾아와 인사했다고 한다. 심지어는 김구 등 임정 인사들이 귀국하자마자 바로 의친왕을 예방했다는 주장을 하기도 한다. 세종시는 "세종시와 대한황실의 독립운동 기록과 시대의 증언" 학술포럼 자료집(2024.6.)에서 이를 활자화했다. 그러나 임정인사들은 그날 숙소에서 기다리던 이승만을 제외하곤 그 누구도 만나지 않았다. 이는 당시 신문에 기록된 바, 귀국 당일 예방 설은 거짓말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전이라면 그 무리에 거짓말쟁이가 있는 거다.)여기에 더해 해방 정국 김규식의 비서로 일했던 송남헌의 관련 기록이 있어 추가한다. 한 단어도 빼지 않고 그대로 옮긴다."언젠가는 이강 공이 삼청장으로 김 박사를 방문했다. 이때 보료 위에 앉아 있..

이왕가 사람들 2025.03.22

유사역사학의 산물: 고종독살설, 제국익문사

고종황제의 한 후손은 오늘 고종 독살설을 주장하며 고종 독살이 사실이 아니라고 말하는 사람들을 "몰상식"하다고 했다. (요즘 너무 바빠서 포스팅할 시간이 없는데, 글쓰기를 자극한다.) 그럼 여기서 그의 이야기를 확인하며 과연 상식이 결여된 자는 누구인가 확인해보고자 한다. 앞서 고종의 죽음을 지켜본 의사들의 증언을 포스팅한 바 있다.(여기에 참여한 의사 중 1인은 조선인으로 그는 전직 의친왕 이강이 신임했던 자다.) 그들에 따르면 고종은 전형적인 뇌출혈 증상이었다. 그럼에도 고종의 독살설이 회자되는 것은 첫 번째로는 일제의 잔악함을 강조하고자, 또는 그들이라면 응당 그랬으려니 하는 확신과 두 번째로는 여기에 더해 윤치호 일기(그가 들은 이야기)가 그 추측을 뒷받침하기 때문이다. 그는 황족 이강과 이준용..

이왕가 사람들 2025.01.18

역사왜곡: 김구와 김규식은 의친왕을 찾아가지 않았다.

의친왕기념사업회 회장 이준은 세종특별자치시(시장 최민호)가 개최한 포럼 "세종시와 대한황실의 독립운동 기록과 시대의 증언"의 자료집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1945년 8월 15일 광복 이후에 11월 23일 김구와 김규식 등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들이 상해임시정부 각료들과 사동궁에 의친왕을 방문하였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을 위하여 임시정부 요인들이 주축이 된 한국독립당에서의 활동을 요청하였고, 의친왕은 이를 수락하였고 운현궁 양관을 한국독립당 당사로 사용하고 백범 김구 선생의 숙소로 사용하게끔 배려하였다. 1947년 3월~1949년 8월까지 한국독립당 최고위원 겸 전임고문을 역임하였으나, 이외에는 일부러 적극적인 정치참여나 정치적인 의사표현을 피했다.의친왕의 후손들은 일제강점기까지 황실, 또는 의친왕이 ..

이왕가 사람들 2024.08.22

황실 유일 독립운동가 의친왕의 두 얼굴

"우리나라를 병탄 한 일본의 황족이 됨을 원치 않는 바" 나도 한국의 일민一民이라 차라리 독립된 한국의 일 서민이 될지언정, 우리나라를 병탄한 일본의 황족이 됨을 원치 않는 바이며 반드시 임시정부 제공諸公과 악수 동심하여 사생 간에 광복에 힘을 다하여 여러 동포가 고심하는 만의 일이라도 보조하려 하는 것이니 나의 이 결심은 하나는 자가自家의 복수를 위한 것이며 하나는 조국의 독립과 세계의 평화를 위함이라. 임시정부 기관지 독립신문(1919.11.20.)에 실린 글이다. 늘 "독립운동가 의친왕" 대목에서 빠지지 않고 나오는 글이다. 의친왕은 임시정부에 서신을 보내 자신의 뜻을 알렸다고 한다. 그런데 아래는 체포되고 며칠 뒤 이강 공이 조선총독 사이토(齋藤) 제독에게 전달한 서신이다. 여기서 이강은 이렇게 ..

이왕가 사람들 2024.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