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5/04 (3)
일상 역사

의친왕 이강의 삶을 살펴볼 수 있는 사료를 하나씩 소개한다. 아래는 메이지시대 일본 언론인 요코야마 겐노스케(横山源之助, 1871-1915)의 비망록 의 기록이다. 엄비가 싫어했던 두 사람, 의친왕과 이토 히로부미다. 알고 보면 둘 사이의 관계는 매우 깊다. 고종은 이토 히로부미에게 영친왕뿐 아니라 의친왕도 부탁했다. 의친왕은 이토 히로부미 사후 통감부로 조문을 갔다. 여하튼 의화군(궁), 의친왕, 이강공의 기록을 차근히 모아보려 한다. 참고로 의화궁이라고 하지만 의화궁주, 또는 사동궁주라는 말은 없다. "궁주宮主"는 본디 여성의 봉호다. 역사에 무지한 자들이 그런 단어도 만들어 쓰곤 한다.조선의 소요도 여하튼 일단락되었다. 신문지상의 보도로 멀찌감치 바라만 봐서인지 명료하지 않아 두셋 조선통의 이야기..

1905년 2월, 대한제국 대황제 폐하 고종이 자식 문제로 일본 공사 하야시 곤스케(林権助)를 불렀다. 곧 의화군이 미국 유학을 마치고 돌아올 시점이었다. 이날의 대화내용은 하야시가 일본 외무성에 보낸 비밀 전보에 남아있다. 현재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에서 서비스 중이다. #고종이 #의친왕을 신뢰했고 #제국익문사를 맡겼다는 이들이 있지만 의친왕이 고종을 만난 것 몇 번 안되고 주연집 같은 고종의 문집에는 흔적조차 없다. 오죽하면 함께 찍은 사진 한 장 없을까. (이것도 "나조차 속았다"할 것인가?) 그럼 자식 이강을 보는 고종의 심정을 들여다보자. 이에 앞서 미리 말해두지만, 의친왕 숭모꾼들은 이 역시 일제에 의해 오염된 사료라고 주장할 것이다. 그러나 이 내용은 "본국에 보내는 전문"이며 ..

모씨가 이렇게 이야기했다. "이승만 정권은 칠궁 내 전각을 헐고 경복궁의 '경'자와 신무문의 '무'자를 결합하여 '경무대'를 설치해 자신의 대통령 관저로 사용하였습니다." 경무대景武臺는 경복궁의 후원을 가리키는 말이다. 이미 조선시대부터 썼던 말이다. 다음은 그 증거다. 1. 은대조례銀臺條例: 이 책은 승정원의 업무편람 같은 서적으로 흥선대원군의 명에 의해 작성한 것이다."황단皇壇" 조에 "명나라 세 황제의 기신일에 북원北苑에서 망배례를 거행할 때에는 허위虛位를 설치하고, 예를 행한다."라는 기록이 있는데, '북원'의 각주에 "경무대景武臺다."라고 했다. 2. 각사등록各司謄錄: 대한제국기까지 중앙-지방을 오간 공문 모음집이다. 강원감영관첩江原監營關牒 고종6년(1869) 11월 15일에, "의정부議政府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