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5/05/02 (2)
일상 역사

얼마 전 대구시 중구청의 순종 동상 철거로 시끄러웠던 일이 있었다.(설치: 2013년 대구 중구청장 윤순영 / 철거: 2024년 류구하) 순종 동상 철거 사건은 지방자치단체의 저렴한 문화행정의 민낯을 보여주는 사건이었다. 나라를 들어 일본에 바치기 직전 전국 백성들을 무마하고자 전국을 한 바퀴 돌았던 일인 순행을 기념하겠다고 도로 한 가운데 동상을 세웠다가 또 통행에 불편을 준다며 부숴버린, 예산 낭비의 전형이었다. 그러나 이 사건의 본질을 도외시 한 채 일부 언론은 의친왕 후손인 어느 "황손"의 말을 옮기며 "예우"를 말했다. 동상이 살아있는 것도 아니고, 게다가 "황제"에게 예우라니... 아직 전근대 사회에 살고 있나 싶었다. 결국 순종 동상은 철거되었다. 철거 와중에서도 발목을 잘랐다며 어찌나 ..
융허궁(옹화궁, 雍和宮)은 베이징에서 가장 큰, 그리고 전국을 대표하는 라마교 사원이다. 청 강희33년(1694년)에 건립되었으며, 원래는 청나라 황제인 옹정제의 즉위전 거처였다. 옹정3년(1725년) 행궁의 명칭을 ‘융허궁’으로 바꿨다. 건륭9년(1744년) 라마교 사원으로 개조했다. 옹화궁은 세 개의 정교한 패방(牌坊)과 천왕전, 융허궁 대전, 영우전(永佑殿), 법륜전(法輪殿), 만복각(萬福閣) 등 다섯 동의 웅장한 대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외에도 동서의 부속 전각, 사학전(四學殿), 즉, 강경전(講經殿), 밀종전(密宗殿), 수학전(數學殿), 약사전(藥師殿)이 있다. 전체 건축 배치는 완전하고 정연하며, 장엄하고도 아름다우며, 한족, 티베트족, 몽골족의 민족적 특색을 지니고 있다.각 전각 내에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