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역사

  • 홈
  • 태그
  • 방명록

정곡 1

조린 낭중이 계신 자리에서 나비를 읊다

조린낭중석상부호접趙璘郎中席上賦蝴蝶 조린 낭중이 계신 자리에서 나비를 읊다 정곡鄭穀 尋豔複尋香 아름다움을 찾아 또 향기를 찾아 似閑還似忙 한가한 듯 바쁜 듯 暖煙沈蕙徑 아지랑이 피면 풀 속에 숨고 微雨宿花房 가랑비 내리면 꽃송이에 잠든다. 書幌輕隨夢 서재에서 가벼이 꿈을 쫒다 歌樓誤采妝 무대에선 예쁘게 단장하니 王孫深屬意 왕손이 남몰래 뜻을 두어 繡入舞衣裳 무희의 치맛자락에 수놓았구나. 전당시全唐詩 권674 시인 정곡鄭穀(849~911) 영주자사永州刺史 정사鄭史의 아들이다. 7세에 시를 지을 줄 알았고 887년(광계光啟3) 진사가 되었다. 이후 우습유, 도관낭중을 역임했으나 난세를 만나 험한 인생을 보냈다. 정곡은 허당許棠, 임도任濤 등 9인과 종종 시를 주고받아 당시 “방림십철芳林十哲”로 불렸다. 자고부..

오늘의 고전 2022.03.12
이전
1
다음
더보기
250x250
프로필사진

일상 역사

일상 속 사소한 역사를 살핍니다. 유사역사학이란 종교를 혐오하며, 식민사학 낙인 찍기에 반대합니다.

  • 분류 전체보기 (227) N
    • 이왕가 사람들 (69) N
    • 중국 이야기 (39)
    • 세상 둘러보기 (63)
    • 오늘의 고전 (49)
    • 사건사고 (7)

Tag

고종, 황실, 당나라, 독립운동, 역사왜곡, 삼국지연의, 사동궁, 의친왕, 중국, 일제강점기, 이강공, 의화군, 촉한, 이강, 유비, 삼국지, 국가보훈부, 대한제국, 우크라이나, 순종,

최근글과 인기글

  • 최근글
  • 인기글

최근댓글

공지사항

  • 비판과 조언을 환영합니다.

페이스북 트위터 플러그인

  • Facebook
  • Twitter

Archives

Calendar

«   2025/05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방문자수Total

  • Today :
  • Yesterday :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