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34

(수능) 죽간 조정서는 무엇?

21년 사탐 동아시아사 3번 문제로 죽간 조정서(趙正書)가 나왔습니다. 죽간(竹簡)은 ‘대나무에 쓴 글’이라는 뜻으로, 종이가 없던 시절 비단과 더불어 문자를 기록하는 재료로 사용되었습니다. 얇은 대나무 가지를 다듬어 글을 쓰고 실로 엮어문서나 책을 만듭니다. 후한대 종이가 발명되고 널리 퍼지기 전까지 대부분의 책은 이 죽간이었습니다. 한자 ‘책(冊)’도 실은 죽간을 엮은 모양에서 기원했죠. 그러나 죽간은 오래 보관할 수 없었고 나중에 모두 종이책으로 대체되었기 때문에 최근 죽간이라고 하는 것은 대개가 고고학 발굴로 땅에서 나온 것들입니다. 일단 문제에 죽간이 나오면, 전국시대, 진나라, 한나라, 삼국(오)나라, 네 시대 가운데 하나라고 유추하면 됩니다. 위의 문제는 이미 “중국 최초로 황제 칭호를 사용..

세상 둘러보기 2022.03.12

수능 연속 출제 조몬토기

수능에 2년 연속, 그것도 1번 문제에 등장한 문화재! 하지만 두 번 모두 답이 아니었다는 건 안 비밀. 그럼 2022년 문제부터 볼까요? 정답은 상대 청동기 정(鼎: 솥 정) ②였지만 ⑤에 나오죠. 그럼 2021년 문제를 볼까요? 2021년에도 정답은 홍산문화 통모양 토기(중국국가박물관 소장) ③이었지만 ④에 보이죠. 이것은 화염형(일본어로 가엔가타) 또는 불꽃모양 토기라고 합니다. 일본 조몬시대 중기를 대표하는 토기이며, 일본을 대표하는 문화재 가운데 하나입니다. 그래서 2020년 도쿄 올림픽 성화대 디자인에도 사용했답니다. 조몬은 한자 '繩文'으로 새끼줄 문양이란 뜻입니다. 토기 표면에 새끼줄을 꼬아놓은 듯한 무늬가 있다고 해서 이것을 조몬토기라고 하고 이 토기가 사용되었던 시대를 조몬시대라고 합니..

세상 둘러보기 2022.03.09

북위의 도용

국립중앙박물관 중국실에는 한나라부터 당나라까지 무덤에 부장했던 도용(인형)이 전시되어 있다. 여러 도용 가운데 요즘 미의 기준에 가장 충실한 얼굴형을 가진 것이 북위(北魏)의 것이다. 북위 도용은 모두 세 개로 하나는 갑옷을 입은 무사고, 다른 두 개는 문관이다. 문관은 각기 붉은색 도포와 백색 도포를 입었는데 유심히 살펴보면 서로 옷깃의 방향이 다르다. ‘서경(書經)’에 ‘좌임(左衽)한 사방의 오랑캐’라는 표현이 나온 이후 옷섶의 방향은 중국과 이민족을 나누는 지표가 되었다. 공자도 춘추시대의 관중(管仲)이 제나라의 환공(桓公)을 도와 이민족의 침입을 물리친 일을 두고 ‘그가 아니었다면 우리 모두 좌임을 했을 것’이라며 그의 업적을 기렸다. 옛 중국인에게 옷을 여미는 방식은 자신과 이민족을 구분하는 잣..

중국 이야기 2022.03.08

판교박물관

먼저 판교박물관 방문을 생각하시는 분들을 위하여, - 개관일: 화요일~일요일 09:00~18:00 (17:30 입장 마감) - 휴관일: 매주 월요일, 1월 1일, 국경일, 설/추선 연휴기간 *서울에서 오시는 분들은 남대문시장, 고속버스터미널에서 9007번 버스를 타시면 바로 앞(성내미육교/판교박물관 정류장)에 내릴 수 있습니다. http://www.pangyomuseum.go.kr/pg/main/index.do / 문의전화: 031-729-4535~7 판교박물관에는 과거 판교에 있던 백제와 고구려의 무덤이 있습니다. 두 나라의 무덤 형식인 돌방무덤의 특징을 잘 살펴 볼 수 있죠. 백제 때는 수도 한성 주변의 요충이었을 테고, 고구려가 한성을 점령한 이후로는 백제의 유산을 그대로 물려받은 듯 합니다. 고려..

세상 둘러보기 2022.02.26

측천무후, 당 종실의 씨를 말리다.

당나라의 측천무후는 고종이 죽자 허수아비 황제로 중종, 예종을 차례로 즉위시키고 전권을 행사했다. 이러다보니 당 종실 이씨들은 반감과 두려움을 갖게 되었다. 이들에게 잠재된 불안은 688년 명당 건립과 함께 폭발한다. 노왕魯王 영기靈夔(당 고조 이연의 19번째 아들)의 아들 범양왕范陽王 애藹가 황제의 조서를 위조하여 "짐이 유폐되었으니 제왕들은 나를 도우라"라는 명령을 종실 일족의 여러 왕들에게 보냈다. 대부분은 잠수탔지만 태종의 손자 낭야왕琅邪王 충沖이 박주博州에서 거병했고 이어 충의 부친이자 태종의 다섯번째 아들인 월왕越王 정貞이 호응했다. 그러나 측천무후가 보낸 진압군에 한달도 못버티고 맥없이 무너지며 결국 둘 모두 동도 낙양의 궁전에 목이 걸렸다. 그러나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았으니, 측천무후는..

중국 이야기 2022.02.21

나라 다이안지大安寺

다이안지는 쇼토쿠 태자가 아스카에 지은 구마고리쇼샤(熊凝精舎)에서 시작하여 헤이조쿄로 이전하며 지금의 이름을 갖게 되었다. 나라칠대사 가운데 하나로 당시 사찰의 규모는 도다이지(東大寺), 고후쿠지(興福寺)에 버금갈 정도고 커서 “남대사(南大寺)”로 불리기도 했다. 그러나 헤이안 시대부터 쇠퇴하기 시작하여 1017년에는 두 개의 목탑이 모두 불타버렸고, 에도시대 중건 시도가 있었지만 옛 모습을 되찾을 수는 없었다. 오늘날 사찰의 바깥에는 칠층탑 기단터가 남아있어 지금보다는 훨씬 컸던 예전 사역을 짐작케 해준다.  사찰 내에는 나라시대의 유품으로 8세기 말 제작된 것으로 생각되는 9개의 목조불과 기와 등을 갖고 있다. 사찰이 쇠퇴했는데도 여전시 창건 시대의 신앙물을 간직하고 있는 것이 놀랍다. 그런데 목조불..

세상 둘러보기 2022.02.07

울산왜성, 그리고 비석

경남 해안가 몇 곳에는 왜란 때 일본 장수들이 쌓은 왜성이 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 입장에서는 성과 없이 그 큰 전쟁을 끝낼 수 없었을 테고, 경상도 일부라도 점령했다는 소리를 듣고 싶었을 것이다. 몇 년 전 왜성이 궁금해서 울산왜성을 찾았다. 그런데, 울산왜성 주차장으로 검색하니 아무 것도 나오지 않아 인터넷에서 이리 저리 찾아보니 울산하면 떠오르는 지명, 학성공원이 울산왜성이었다. 성 자체는 그리 크지 않았지만 전망이 좋고 태화강이 바다와 만나는 길목에 있어 이곳에 성을 지은 까닭을 짐작해볼 수 있었다. 산등성이 중간 중간에 위치한 평지에는 각기 삼지환(三之丸), 이지환(二之丸), 본환(本丸) 팻말이 있다. 산노마루, 니노마루, 혼마루를 우리식 한자로 표현한 것이 약간 어색했지만, 그것은 선택의 문제..

세상 둘러보기 2022.01.29

당나라 장수 사숙방謝叔方

사숙방(謝叔方)은 옹주(雍州) 만년인(萬年人)이다. 처음에 소랄왕(巢剌王) 이원길(李元吉)을 따라 토벌에 참전하여 여러 차례 공을 세워 원길이 굴질직부좌군기(屈咥直府左軍騎)에 임명했다. 태종(太宗)이 은태자(隱太子: 이건성)와 원길을 현무문(玄武門)에서 처단하자 숙방(叔方)이 부병(府兵)을 이끌고 풍립(馮立)과 함께 북궐(北闕) 아래서 맞서 싸워 경군홍(敬君弘)과 여세형(呂世衡)을 죽였다. 태종의 군대가 주춤하자 진부호군위(秦府護軍尉) 지경덕(遲敬德: 울지경덕)이 원길의 머리를 가져와 보여주자 숙방(叔方)이 말에서 내려 곡하고 달아났다. 이튿날 나와서 자수하자 태종은 ‘의사(義士)로다!’라며 풀어주라 명했다. 서·이 이주자사(西·伊二州刺史)로 일하며 변진(邊鎭)을 잘 다스려 호융(胡戎)이 사랑하고 공경하..

중국 이야기 2022.01.15

(순창군) 용궐산 명필 거리 - 나랏돈으로 자연훼손

순창군이 군내 용궐산에 명필거리를 만들겠다며 여기 저기서 집자해서 바위에 드릴로 새기고 있다. 요즘 같은 시대에 고사성어길이라는 것도 어불성설이며, "요즘 세대가 선현들을 잊고 있어 안타까워"라는 발상도 우습기 짝이 없다. 어디 요즘 세대를 함부로 진단하며, 그 자신들은 얼마나 선현들을 기억하고 있는지, 여기 참여한 공무원, 군의회 의원, 수주한 회사 직원들까지 모아다 시험이라도 쳐보고 싶은 심정이다. 모자이크 속 담당 공무원은 말한다. "한석봉 선생에 글씨 한 점을 구경해본 사람이 없어요. 여기에 그 글씨가 있구나라고 해서 우리나라 선인들도 알리고" 아무렴 산에 간 사람들이 그 글씨보러 산에 갈까? 그리고 진본성도 없는 그 글씨보고 감화를 느낄 수 있을까? 뉴스에 언듯 언듯 새겨 놓은 글자가 보이..

세상 둘러보기 2021.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