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고유섭 (2)
일상 역사

현대일보 1946년 7월 12일자에 실린 기사다. 글을 쓴 이강국李康國(1906~1956?)은 양주 출신으로 1925년 보성고등학교를 수석으로 졸업하고 경성제국대학 예과에 입학했다. 고유섭도 보성고등학교 졸업 후 경성제국대학 예과에 입학했다. 고등학교부터 대학까지 함께 지낸 시간만큼이나 친분도 돈독했던 듯하다.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재학 중 공산주의 이론에 입문하고 1928년 중퇴해 베를린 훔볼트 대학 법철학과에 입학, 독일 공산당에도 가입해 활동했다. 귀국 후 파업을 주동 옥고를 치르기도 했다. 해방 후에는 건국준비위원회 등에 참여 좌익의 목소리를 냈고, 결국 미군정 하에서 체포령이 떨어지자 월북했다.(이때 연인 김수임이 도움을 주었다.) 북한에서 외무국장, 조선인민군병원장, 조쏘항공사 사장 등을 역임..

조선화론집성은 우현 고유섭(1905~1944)이 조선시대 에서 회화 관련 기록을 간추려 모은 책이다. 저자 생전에는 간행되지 못하고 1965년 황수영이 유족으로부터 원고를 받아 등사 간행했으며, 1976년 경인문화사에서 등사본을 재인쇄하는 방식으로 중간했다. 전적을 일일이 찾아보기 어려웠던 시절, 조선화론집성을 보고 원본 본 양 논문에 각주 단 사람도 많았던 듯하다. 언젠가 시간이 되면 조선화론집성의 오타를 찾아 여기 나온 걸 누가 어떻게 인용했는지 찾아내고 싶다. 번역이 대접 못받는다고 하지만(그래서인지 "이런 건 왜 번역 안해"라는 사람들, 저서는 내도 번역서는 안내더라.) 사료집성이야말로 공만 많이 들고 얻는 건 별로 없다. 그래서 한국미술사사료집성을 펴낸 진홍섭 선생이야말로 이 분야의 존경을 받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