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216)
일상 역사

모씨가 이렇게 이야기했다. "이승만 정권은 칠궁 내 전각을 헐고 경복궁의 '경'자와 신무문의 '무'자를 결합하여 '경무대'를 설치해 자신의 대통령 관저로 사용하였습니다." 경무대景武臺는 경복궁의 후원을 가리키는 말이다. 이미 조선시대부터 썼던 말이다. 다음은 그 증거다. 1. 은대조례銀臺條例: 이 책은 승정원의 업무편람 같은 서적으로 흥선대원군의 명에 의해 작성한 것이다."황단皇壇" 조에 "명나라 세 황제의 기신일에 북원北苑에서 망배례를 거행할 때에는 허위虛位를 설치하고, 예를 행한다."라는 기록이 있는데, '북원'의 각주에 "경무대景武臺다."라고 했다. 2. 각사등록各司謄錄: 대한제국기까지 중앙-지방을 오간 공문 모음집이다. 강원감영관첩江原監營關牒 고종6년(1869) 11월 15일에, "의정부議政府에..

지난주 원주에서 민긍호 의병대장 기념사업회 발대식이 있었다. 이때 의친왕기념사업회는 고종황제가 민긍호 의병장에게 내린 칙명을 공개했다. 기사 전문은 아래 링크한다. ‘민긍호 의병장 임명’ 대한 황실 밀서 최초 공개대한제국 황실이 일제의 군대해산에 항거하던 원주진위대 특무장교 민긍호 의병장(1865-1908)을 간부급 의병장으로 임명한 밀서가 공개됐다.민긍호의병대장 기념사업회(회장 조경빈)는 지난 22일 www.kado.net칙명의 사진은 다음과 같다. 勅命 / 閔肯鎬特陞正 / 三品通政大夫 / 命鎭衛隊倡義 / 司令部大將者 / 光武十一年九月五日위 칙명을 그대로 해석하면, “칙명 민긍호를 정삼품 통정대부로 특승하고 진위대창의사령부대장을 명한다”라는 뜻이다. 위 칙명에는 문산관(정3품 통정대부)과 실직(진위..

의친왕을 숭모하는 이들은 광복 이후, 독립지사들이 의친왕에게 찾아와 인사했다고 한다. 심지어는 김구 등 임정 인사들이 귀국하자마자 바로 의친왕을 예방했다는 주장을 하기도 한다. 세종시는 "세종시와 대한황실의 독립운동 기록과 시대의 증언" 학술포럼 자료집(2024.6.)에서 이를 활자화했다. 그러나 임정인사들은 그날 숙소에서 기다리던 이승만을 제외하곤 그 누구도 만나지 않았다. 이는 당시 신문에 기록된 바, 귀국 당일 예방 설은 거짓말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전이라면 그 무리에 거짓말쟁이가 있는 거다.)여기에 더해 해방 정국 김규식의 비서로 일했던 송남헌의 관련 기록이 있어 추가한다. 한 단어도 빼지 않고 그대로 옮긴다."언젠가는 이강 공이 삼청장으로 김 박사를 방문했다. 이때 보료 위에 앉아 있..

안중근 의사의 하얼빈 의거에 일본 이상 당혹스러워했던 건 대한제국 조정이었다. 어떤 자들은 일말의 근거도 없이 안중근이 고종의 밀명을 받았다는 황당무계한 주장을 펴고 있으나 이는 대한제국에 대한 환상과 조상 현창에 눈먼 이들의 소설에 불과하다. 순종은 이토 히로부미에게 황태자(영친왕)의 스승이 되어 달라며 태자태사의 벼슬을 내렸다. 즉 이토 히로부미는 대한제국의 대신이기도 했다. (그 전에 고종은 부디 한국에 남아달라며 간청하기도 했다.) 순종은 태자태사의 죽음에 조서를 내렸다. “태자 태사(太子太師) 이등박문(伊藤博文)은 영령(英靈)의 기질을 타고나 광제(匡濟)의 계략을 갖추고서 시운(時運)을 만회하고 문명(文明)을 발전시키려 현로(賢勞)를 꺼리지 않았고 자신의 훌륭함은 돌보지 않은 채 우뚝이 동양(東..

Prince Uichin, Yi Kang (李堈, 1877–1955), was well known for his numerous romantic affairs. Even in the United States, he was involved in scandals with women, which led to him being assaulted by an American young man. He had multiple wives in addition to his official spouse. Although the criteria for distinguishing concubines from mistresses are unclear, it is said that he had one wife, seven conc..

의친왕은 여성편력으로 유명하다. 미국에서도 여성과의 염문설에 그 때문에 미국인 청년에게 구타를 당하기도 했다. 후궁과 첩을 구분하는 기준이 뭔지 모르겠지만 "부인 1인, 후궁 7인, 첩 8인이라고...(기준을 아는 분은 댓글로 알려주세요.) 군주제 시대에는 달리 봐야 한다"라고. 하지만 "근대"다. 근대에는 그것을 "축첩(쌓을 축, 첩 첩)"이라고 부른다. 의친왕은 일제강점기 막판까지 후궁인지 첩인지 늘려나갔다. (일관성은 있다. 미국에서는 미국인과, 여기에 더해 기생까지 - 어떤 자료에는 일본인 첩도 있었다고.) 어떤 이는 의친왕이 축첩을 15세기 세종에 비교하며 왕실의 여성편력은 다르다고 강변한다. 어불성설이다. 세종의 시대를 우리는 중세, 또는 근세라고 부른다. 그러나 의친왕이 살던 시대는 20세..

고종황제의 한 후손은 오늘 고종 독살설을 주장하며 고종 독살이 사실이 아니라고 말하는 사람들을 "몰상식"하다고 했다. (요즘 너무 바빠서 포스팅할 시간이 없는데, 글쓰기를 자극한다.) 그럼 여기서 그의 이야기를 확인하며 과연 상식이 결여된 자는 누구인가 확인해보고자 한다. 앞서 고종의 죽음을 지켜본 의사들의 증언을 포스팅한 바 있다.(여기에 참여한 의사 중 1인은 조선인으로 그는 전직 의친왕 이강이 신임했던 자다.) 그들에 따르면 고종은 전형적인 뇌출혈 증상이었다. 그럼에도 고종의 독살설이 회자되는 것은 첫 번째로는 일제의 잔악함을 강조하고자, 또는 그들이라면 응당 그랬으려니 하는 확신과 두 번째로는 여기에 더해 윤치호 일기(그가 들은 이야기)가 그 추측을 뒷받침하기 때문이다. 그는 황족 이강과 이준용..

*고종이 "을사조약의 폐기에 일도 노력하지 않았다"는 저의 착오가 있어 원고를 수정해 게재합니다. 고종 또는 순종을 미화하는 사람들은 고종실록과 순종실록을 믿을 수 없는 자료로 치부한다. 그리고 규장각에는 막대한 1차 사료가 있다며 그것을 번역하면 고종과 순종에 대한 재조명이라도 벌어질 듯 내심 기대한다. 그 1차 사료 가운데 하나가 승정원일기다. 나무위키 승정원일기 항목에는 그런 희망이 그대로 담겨있다.“고종 순종실록은 일제가 만들어서 역사왜곡이 상당히 심하기에 일기가 주요 사료가 되고 실록이 보충하게 될지도 모른다.” 을사늑약 체결 열흘 뒤인 광무9년(1905) 11월 27일, 궁내부특진관宮內府特進官 조병세趙秉世가 상소를 올린다. 신들이 근심과 울분에 사로잡혀 망령되게 저희들의 생각을 아뢰고 모여..

#세종시와대한황실의독립운동기록과시대의증언 비판 03. 의친왕 독립선언서의 진실 의친왕이 독립선언을?의친왕이 독립운동가라고요? 세종특별자치시(시장: 최민호)는 의친왕기념사업회와 공동으로 포럼 “세종시와 대한황실의 독립운동 기록과 시대의 증언”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역사왜곡으로 점철된 “집안 띄어주기”에 불과했다. 그날 허위 사실을 하나씩 잡아보고자 한다. 이번에는 의친왕이 서명(?)했다는 "제2독립선언서"의 진실이다. 의친왕기념사업회장 이준은 자료집에 대동단 독립선언서 사진을 게재하고 아래 설명을 부기했다.“대동단 독립선언서. 일제 치하에서 황족으로 사느니 자유 대한에서 평민이 되고자 했던 의친왕은 독립선언서 33인 중 제일 첫 번째로 ‘의친왕’이 아닌 ‘이강’으로 서명을 한다. 전협, 김가진 등 당대..

어떤 이들은 의화군, 훗날 의친왕 이강이 미국에서 유학생과 한국 독립의 뜻을 함께했다고 한다. 그러나 미국에서 이강의 실제 생활은 전혀 그렇지 않았다. 다음 기사 역시 이강의 미국 생활을 잘 보여준다. 아래는 버지니아의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일간지 Richmond Dispatch, January 22, 1902.에 실린 글이다. (정병준 선생님 논문의 각주를 보고 원문을 확인, 번역해 싣는다.) 의친왕이 독립운동가라고 생각하는 분은 필독하시기 바란다. 1902년이 대한제국에게 어떤 기간이었는지 생각하면 더 기가 막힌다. 왕자, "흥청망청"뉴욕 관광에 3만불을, 은행에 고소당한 한국 국왕의 둘째 아들 (뉴욕 월드의 워싱턴 특파원) 한국 국왕의 차남인 의화(Euiwha) 왕자는 누구 못지않게 “아름..